명함 제작
디지털 시대의 명함 디자인: 중요성, 사례
명함이란
- 성명, 주소, 직업, 성명 따위를 적은 네모는 종이쪽
- 처음 만난 사람에게 자신의 신상을 알리기 위해 건네주는 것
명함 제작 실습: 종이종류, 인쇄종류
밝기
- 얼마나 밝은지에 따라 종이를 선별
- 백색도가 높을수록 좋은 종이
흰색의 정도
- 백감도로 불리며, 눈이 하얗게 느끼는 정도
광택
- 광택이 있으면 색상이 더 도드라진다.
- 잡지, 사진집에서 광택을 많이 사용
불투명
- 종이의 불투명도가 높으면 비침이 적다.
기본 용지

인쇄 방법

명함 디자인 학습내용 요약
나의 명함의 중요성
- 펄스널 브랜드 파워를 높인다.
- 자신만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자신을 전달하는 매게체로서 활용할 수 있다.
- 명함은 비즈니스의 필수 도구
리플렛/포스터 제작
리플렛과 포스터는 무엇인가: 중요성과 용도
리플렛이란?
- 설명이나 광고와 선전의 내용을 담은 종이
- 팸플릿보다 더 작고 간략한 형태
포스터란?
- 광고 및 홍보를 위한 매게체의 하나
- 일정한 내용을 상징적인 그림과 간단한 글귀로 나타낸다.
- 주로 길거리나 사람의 눈에 많이 띄는 곳에 붙인다.
리플렛과 포스터의 중요성
- 주목성, 가독성, 명쾌성, 조형성, 창조성
시각적인 인상
- 잠재 고객에게 빠르고 즉각적인 시각적 인상을 남긴다.
- 브로셔나 전단보다는 크고 광고판보다는 작은 포스터(리플렛)는 매력적인 메시지와 자극적인 디자인을 돋보이는 것이 특징이다.
지속적인 노출을 제공
-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교통량이 많은 지역에서 광범위한 청중에게 다가갈 수 있다.
정체성 강화
- 포스터는 회사 혹은 홍보물의 브랜드 색깔, 로고, 이미지, 메시지에 관해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만들어진다.
- 원하는 리플렛이나 포스터를 만힝 만들게 될수록 자신만의 디자인 스타일로 만들어진다.
리플렛과 포스터의 용도
- 경제성, 가시성, 신뢰도, 회상, 유연성, 감정적반응
포스터 제작 실습: 홍보 포스터 제작(1)
광고 및 홍보 포스터 제작 시 중요한 것은?
- 창의적인 아이디어
- 이미지
- 카피라이팅
카피라이팅이란?
- 각종 광고 및 홍보에 사용될 글과 문장
- 인쇄 광고의 헤드라인, 카피 본문과 방송 광고의 멘트, 내레이션, 광고 노래 가사 등이 있다.
카피라이팅의 역할
- 주목도가 높아야 한다.
- 흥미가 있어야 한다.
- 누군가의 욕구를 살 수 있어야 한다.
- 행동을 하게 해야 한다.
팜플렛/브로셔 제작
팜플렛과 브로셔는 무엇인가: 용도와 특징
팜플렛이란?
- 소책자의 형식으로 주로 회사나 사업의 전모를 소개하고 상품을 주제로 한 영업을 안내하기 위해 작성하는 서식
팜플렛 용도와 특징
- 리플렛과 브로셔의 중간 역할
- 팜플렛은 소책자 형식으로도, 접지 형식으로도 제작이 가능하다.
- 공연이나 행사 등에 대한 안내 내용을 담고 있으며 리플렛보다는 많은 양을 브로셔보다는 적은 양을 다루고 있다.
브로셔란?
- 기업의 이념 및 현황, 계획 등의 기업 소개, 제품 소개 등을 수록한 책자.
- 팜플렛이나 전단지의 대용으로 활용
브로셔 용도와 특징
- 소책자 형식으로 휴대성은 떨어져도 정보의 양이 훨씬 방대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.
- 브랜드의 이미지, 히스토리, 이념, 방향성 등에 비중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.
팜플렛, 브로셔 사이트
- https::www.itsnicethat.com
편집디자인 마무리 핵심정리 및 실전 Tip
프로세스
- 클라이언트의 텍스트 및 소스 전달 받음
- 1차 회의 시간과 장소 및 주제를 안내
- 5~10분 동안 디자인 제작 단계와 내용을 설명하고 질문을 받음
- 충분한 시간 동안 디자인씽킹 진행
- 작성한 아이디어는 주제별로 그룹화
- 회의 후 본 시안 작업 진행
- 2차 회의 진행과 컨펌 및 수정
- 인쇄 및 후가공
- 최종 전달
자료 준비
- 인터넷을 통해 편집디자인 관련 자료 준비
- 컬러차트와 용지샘플북 서체, 이미지, 관련 사이트 등등 준비
- 견적서, 기획서, 계약서, 작업일정표, 발주서, 출판기획 · 편집 · 인쇄·가공 관련 서적 준비
- 프레젠테이션 보드, 컴퓨터 준비
유의사항
- 관련 문서에는 일정표, 계획서, 명세서, 견적서, 계약서, 발주서 등을 포함 필요
- 출판물의 기획의도에 대한 구체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한다.
- 클라이언트가 편집디자인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저작권 등의 법률적 이해를 하고 있는지 사전 체크
- 저작권 · 초상권의 관련 법령과 규정을 계약서 작성 이전에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.
- 소비자 행동 분석은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편집디자인 구현의 기초 자료에 포함
*이 내용은 제로베이스의 그래픽 디자인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