카테고리 없음

제로베이스 그래픽 디자인 스쿨 8기 4주차 학습 일지

2114959 2025. 2. 27. 16:48

미드저니 사용방법

  • /imagine 명령어를 통해서 prompt를 입력할 수 있다.
  • prompt를 입력하면 이미지가 4개가 출력되는데 원하는 이미지를 골라 변형해서 완성시키면 된다.

 

생성된 이미지를 다루는 기본 툴

Upscale

  •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면 선택한 이미지 확대

Variation

  • 원하는 이미지를 골라 선택하면 그 이미지와 비슷한 4개의 이미지를 출력

Re-run

    • 원하는 이미지가 없으면 4개의 이미지를 다시 생성

Vary Region

  • 원하는 이미지의 부분 변경

Zoom out

  • 양 옆을 넓혀주는 기능

Pan

  • , 아래, 양 옆 버튼을 눌러 확장하는 기능

 

이미지 생성 방법

  • 이미지를 다운 받아서 프롬프트에 드래그&드랍을 하면 일종의 레퍼런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.
  • photography, surreal, 3D Graphic 등등 여러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.

prompt?

  • AI가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텍스트 기반의 문구

 

Text prompt

  • what?,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 입력하는 명령어

 

좋은 prompt 작성

  • 애매한 단어보다는 구체적인 단어와 숫자 선택하기
  • Subject(주제), Medium(매체), Environment(환경), Lighting(조명), Color(색상), Mood(기분), Composition(구성)

 

Parameters

  • 어떻게 이미지를 만들 것인지 입력하는 명령어
  • 이미지의 세팅값을 설정하는 파라미터

 

Aspect Ratio(이미지 비율)

  • --ar 1:1
  • --ar 3:4
  • --ar 16:9
  • 기본값을 11이며 원하는 비율 입력

 

Stylize(예술정)

  • 이미지를 어느 정도로 표현할지 정하는 부분
  • --s 0
  • --s 100
  • --s 1000
  • 기본값은 100이며 원하는 값을 0에서 1000 사이 값을 입력

 

No(제외값)

  • 결과물에 포함하지 않고 싶은 키워드 입력
  • ex) --no fruit

 

Version(버전)

  • 버전에 따라 학습된 데이터가 다르며 결과물도 다르게 출력
  • --v6(기본값)
  • --v5.2(예술적이고 추상적)
  • --niji 6(애니메이틱)

 

Describe

  • 이미지를 텍스트로 묘사해주는 기능
  • /Describe

 

Blend

  • 두 개의 이미지를 섞어서 생성해주는 기능
  • /Blend

 

 

브랜드 마케팅 디자이너란?

  • 그래픽 디자인을 중심으로 다리와 같은 일을 하는 것
  • 디자인을 하는 사람임과 동시에 디자인을 전달하는 사람이다.
  • 이벤트 디자인에 있어서 여러가지 디자인과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하거나 관여하게 된다.

 

키 비주얼

  • 로고, 색상, 폰트, 사진, 영상, 크롭 가이드 등으로 구성된다.
  • 캠페인을 통틀어서 디자인의 기본이자 가이드가 된다.

 

디자이너의 기업, 팀원, 외부기업에서의 역할

기업

  • 디자인과 관련된 모든 업무에 디자이너가 시간과 비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.

팀원

  • 디자이너로서 전문적인 견해를 원한다.
  • 디자인의 관련된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해주길 원한다.

외부

  • 꼼꼼한 검수를 원한다.
  • 비전공자도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피드백 정리를 원한다.

 

브랜드 마케팅 디자이너와 비슷한 직업과 전망

  • 그래픽 디자이너, 브랜드 디자이너, 일러스트레이터, 패키지 디자이너, 텍스타일 디자이너, VMD, 디자인 에이전시

 

 

마케팅 시가와 캠페인

마케팅

  • 제품과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알리는 활동

 

디자이너가 바쁜 시기

  • 휴가철, 기념일과 공휴일, 브랜드에 의미있는 날, 국제 행사

 

 

아이디어 스케치

  • 온라인 컨텐츠로 사용되거나 오프라인 이벤트에 사용되기도 한다.
  • 마케팅에서 중요한 캠페인일수록, 캠페인의 규모가 클수록, 제작물의 규모가 클수록, 제작물이 독특할수록 아이디어 스케치의 중요도가 커진다.

 

 

리서치 방법과 과정

검색 포털

  • 구글, 네이버, 핀터레스트, 유튜브, 비핸스에서 키워드를 조합하여 검색

사내 자료

  • 지난 캠페인 키 비주얼, 다른 국가 사례, 행사 촬영 사진, 관계자 탐문

 

리서치 방법과 과정

  • 중요한 소재는 누끼를 미리 따두는게 편리하다.
  • 추상적인 디렉션일 때, 지시되지 않는 부분이 있을 때, 기술적으로 가능한지, 의견 차이가 있을 때와 같은 문제들은 다양한 아이디어 스케치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.

 

아이디어 스케치 적용

  • 아이디어 구체화에 도움을 준다.
  • 기술적 자문을 구할 수 있다.
  • 커뮤니케이션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.
  • 대략적인 예산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.
  • 계획을 설득하고 컨펌 받는데 도움이 된다.

 

 

Design Process - 디지털 콘텐츠

디자인 수행

  • 대부분의 콘텐츠는 배경과 텍스트로 구성된다.
  • 포스터도 배경과 텍스트로 구성되지만, 밀도가 훨씬 높다.
    조화롭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

1. 포스터 배경 작업

  • 아트워크에도 컬러 팔레트 반영
  • 요소가 많아도 모든 레이어를 분리
  • 모든 요소는 빛의 위치를 고려

2. 포스터 내용

3. 포스터 배경과 내용 배치

  • 가시성을 고려해 텍스트와 배경을 조절
  • 우선순위는 텍스트, 배경 순으로
  • 제외된 레이어라도 지우지말고 남겨두는게 좋다.

 

포스터 배경 이미지의 다양한 활용

웹사이트(, 모바일)

  • 1:1, 16:9, 3:2, 4:3, 1.91:1

sns

  • 1:1, 4:5, 9:16, 3:1

인쇄

 

썸네일 이미지

  • 작은 사이즈에 내용을 담은 미리보기 이미지
  • 목업으로 만들어지며 실사의 이미지로 만들어지기도 한다.
  • 강조할 내용은 키워드와 제목을 중심으로 선정하면 된다.

 

최종 컨펌 및 체크

  • 소비자와 만나기 전 체크하는 단계
  • 기준은 비주얼 가이드로 한다.

 

 

Design Process - 오프라인 콘텐츠

디자인 계획과 현장 답사

현장 답사

  • 디자인을 계획하기 위해선 이벤트가 진행될 장소를 답사하는 과정
  • 제작물 종류, 설치 위치, 현장 구조와 배치를 고려해야 한다.
  • 현장 답사가 끝난 후 오프라인 컨텐츠를 제작한다.

 

제작해야할 오프라인 컨텐츠

  • 이벤트 제작물
  • 참가자 기념품

 

디자인 피드백

피드백을 모아서 전달해야 하는 이유

  •  많은 피드백이 여러개의 제작물에 포괄적으로 전달되면 혼란스럽게 되기 때문이다.
    혼동을 피하고 빠르게 수정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이 중요
    구두나 글로 받은 피드백도 이미지와 함께 자세하고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.

디자인 피드백 예시

  • 수정이 필요한 부분에 글과 이미지를 함께 제시
  • 수정 사항이 반영된 예시 시안
  • 수정에 필요한 파일은 피드백과 함께 다시 첨부

 

샘플 확인 및 발주 요청

샘플 확인이 필요한 이유

  • 규모가 큰 이벤트 제작물을 여러개 발주하기 때문에
  • 기념품 역시 많이 발주해야 하기 때문에
  • 발주가 시작되면 수정이나 번복이 어렵다.

 

이벤트 제작물 샘플 확인

  • 컬러를 가장 중요하게 확인해야 한다.
  • 로고 : 제작물에서 뚜렷하게 보여야 하는 요소
  • 재질 : 컬러와 인쇄 품질에 영향이 있다면 변경

 

참가자 기념품 샘플 확인

  • 로고 위치, 크기 확인을 해야 한다.
  • 인쇄 컬러를 확인해야 한다.
  • 크기 및 마감을 확인해야 한다.

 

 

시작하는 그래픽 디자이너를 위한 팁

업무를 돕는 도구

  • 저장 장치(USB, 외장하드)
  • 연결 장치(멀티 허브, 케이블)
  • 충전 장치(멀티 충전기, 보조 배터리)
  • 작업 장비(더블/듀얼 모니터, 태블릿)

 

커뮤니케이션 방법

커뮤니케이션 상황에 따라 어떤 수단이 권장되는지

  • 메일, 카카오톡, 전화, 문자, 미팅

 

메일‘TO’‘CC’에 넣을 사람을 구별하는 기준

  • TO : 메일에 답장을 해야 할 의무가 있는 사람
  • CC : 메일 내용을 참고해야 할 사람

 

휴대폰으로 메일 본문에 디자인 피드백을 써서 보내야 할 때

  • 카톡, 문자 보다는 메일을 사용하여 보내는 것이 좋다.
  • 피드백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캡처하여 글과 함께 보내는 것을 추천한다.

 

(주말 포함)휴일에 업무 연락을 취해야 할 때

  • 급할 때는 메일보다는 문자나 카톡으로 보내는 것을 추천한다.

 

필요한 역량과 나를 위한 마음 가짐

  • 레퍼런스를 이해하고 팀원과 소비자가 원하는 말을 이해하는 이해력이 필요하다.
  • 촉박한 시간에도 빠르게 디자인 할 수 있는 신속함
  • 조금 덜 빠르더라고 누구보다 꼼꼼하게 검수하고 결정할 수 있는 신중함
  • 갖고 싶은 디자인을 만들 수 있는 감각
  • 맡은 바를 끝까지 하는 책임감

 

 

 

*이 내용은 제로베이스의 그래픽 디자인 강의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